최근 의대 증원과 관련된 뉴스가 연일 화제가 되면서, 많은 분들이 의사가 되는 과정에 대해 궁금해하고 계십니다. 과연 의사가 되려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고, 어떤 단계들을 거쳐야 할까요?
의과대학 진학 방법
우리나라에서 의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 대학입시를 통한 의과대학 직진학 - 가장 일반적인 방법
- 대학 재학 중 의과대학 편입 - 타 학과에서 편입
- 대학 졸업 후 의학전문대학원 진학 - 학부 4년 + 의전원 4년
- 외국 의과대학 졸업 후 국내 의사국가시험 합격
의과대학 교육과정 (6년)
의과대학에 진학한 후에는 총 6년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 의예과 2년 - 기초 교양 및 기초과학 학습
- 의학과 4년 - 기초의학 2년 + 임상의학 2년(실습 포함)
의학과 3학년 때부터는 본격적인 임상실습이 시작되어 병원에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받게 됩니다.
의사면허 취득
6년간의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마치고 의학사 학위를 취득하면, 비로소 의사국가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의사국가시험에 합격해야만 의사면허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전문의 수련과정
의사면허를 취득한 후, 대부분의 의사들(약 80% 이상)은 전문의가 되기 위한 수련과정을 밟게 됩니다.
인턴 과정 (1년)
인턴은 각 진료과를 순환하며 기본적인 의료 업무를 익히는 과정입니다. 주요 업무로는:
- 각 과 순환 근무
- 채혈, 소독, 수술 준비 등 기본 업무
- 환자 명단 관리
- 전공과 선택을 위한 탐색
레지던트 과정 (3-4년)
인턴 과정을 마치고 전공의 선발시험에 합격하면 레지던트가 됩니다. 수련기간은 대부분 4년이며, 가정의학과는 3년입니다.
레지던트 기간 동안의 주요 활동:
- 1-2년차: 입원환자 담당, 차트 작성, 수술 보조
- 3-4년차: 외래진료, 후배 교육, 소규모 수술 집도
전문의 자격 취득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마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비로소 전문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되기까지 총 소요시간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한 번도 유급하지 않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는 데까지는 최소 11년이 소요됩니다:
- 의과대학 6년
- 인턴 1년
- 레지던트 4년
남성의 경우 군대 복무 3년(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를 추가하면 총 14년이 걸리게 됩니다. 즉, 최소 31세가 되어야 전문의가 될 수 있습니다.
QnA
의대 졸업 후 바로 개업할 수 있나요?
네, 의사면허만 있으면 개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의사들은 전문의 과정을 거쳐 전문성을 키웁니다.
의대에서 유급이 흔한가요?
생각보다 유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학번이 6년 만에 함께 졸업하는 비율은 약 50% 정도입니다.
전공의 TO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전공의 TO(정원)는 보건복지부에서 정하며, 국가에서 지정한 수련기관에서만 전공의를 선발할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 의대를 졸업해도 한국에서 의사가 될 수 있나요?
네, 외국 의과대학 졸업 후 우리나라 의사국가시험에 합격하면 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의사 수련과정에서 급여는 받나요?
인턴과 레지던트 모두 급여를 받습니다. 다만 일반 직장인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며, 근무 강도는 매우 높습니다.
의사가 되는 과정은 생각보다 길고 험난한 길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전문성과 책임감이 요구되는 직업이기도 합니다. 의사를 꿈꾸고 계신다면 긴 호흡으로 차근차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환자를 치료하고 생명을 구한다는 숭고한 사명감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